전기산업기사·산림기능사·산업위생관리기사 취득 시 1년 이내 취업률 70% 이상
기사 등급 자격증 취득자 1년 이내 58.9%가 취업 성공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고용경쟁력 강화를 위해 취업에 유리한 국가기술자격을 분석해 공개했습니다.
※ 2023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2024년 고용상태를 건강·고용보험 가입 여부 분석
국가기술자격 취득자(74만 명, 2023년 취득) 중 미취업자(44.5만명, 60.1%)의 절반 정도(47.5%)가 1년 이내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격취득자와 미취득자의 취업률 차이는 7.9%p이며, 취업자 1만명 이상 기준으로 기사 등급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고(58.9%), 산업기사 등급(56.2%), 서비스 분야(47.3%), 기능사 등급(44.1%) 순입니다.
가장 많이 취득하는 국가기술자격은 컴퓨터활용능력, 지게차운전기능사, 산업안전기사, 굴착기운전기능사, 전기기능사 순입니다.
미취업자 기준으로 취득인원이 1,000명 초과한 자격 중 취업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전기산업기사(73.9%), 산림기능사(71.9%), 산업위생관리기사(71.5%)로 나타났습니다.
취득인원 1,000명 이하 200명 초과인 종목은 에너지관리산업기사(79.4%)와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76.9%)의 취업률이 높았고 취득인원이 200명 이하인 종목 중에서는 승강기기사(82.1%) 및 생산자동화산업기사(81.1%)의 취업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국민들이 선호하는 자격과 취업률이 높은 자격에 차이가 있었으며 직종규모에 따라 취업 경쟁력이 높은 자격 또한 달리 나타났습니다.
1,000명을 초과한 미취업자가 취득한 자격 기준으로 연령별, 성별에 따라 취업률이 높은 자격 또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연령별로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을 살펴보면 청년층(19~34세)은 기계정비산업기사(67.5%), 전기산업기사(64.3%), 산업위생관리기사(61.2%) 순이고 고령층(55세 이상)은 전기기능사(58.1%), 한식조리기능사(54.3%), 조경기능사(50.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 분석해 보면 남성 취득자의 취업률이 높은 자격은 기계정비산업기사(67.0%), 전기산업기사(66.9%), 공조냉동기계기능사(57.9%) 순이고 여성은 웹디자인기능사(57.8%), 컴퓨터활용능력2급(53.3%), 직업상담사2급(51.5%) 자격의 취업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연령별·성별 분석결과 집단별 선호하는 자격과 취업률이 높은 자격이 달라 개별 특성에 맞는 취업전략이 필요합니다.
고용노동부 임영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국민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자격을 취득하고 있어 많이 취득하는 자격과 취업이 잘 되는 자격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이번 분석 결과는 취업을 목적으로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는 구직자들이 취업에 유리한 자격을 선택하여 취업 경쟁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고용노동부는 앞으로도 국가기술자격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해 국가기술자격이 직업능력개발과 국가 경쟁력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고용상태 (건강보험 조회 기준)
등 급 | 건강보험 분석결과 | ||||||
2023년 취득자 |
취득당시 | ‘24.7월말 조회기준 | |||||
재직자 | 재직률 | 비재직자 | 취업인원 | 취업률 | |||
총 계 | 539 종목 |
740,374 명 | 288,993 명 | 39.0% | 444,792 명 | 211,266 명 | 47.5% |
기술사 | 84 | 1,376 | 1,315 | 95.6% | 59 | 43 | 72.9% |
기능장 | 29 | 7,646 | 7,263 | 95.0% | 377 | 202 | 53.6% |
기 사 | 116 | 145,303 | 85,902 | 59.1% | 55,102 | 32,471 | 58.9% |
산업기사 | 117 | 60,566 | 31,074 | 51.3% | 29,459 | 16,563 | 56.2% |
기능사 | 162 | 393,811 | 133,900 | 34.0% | 257,726 | 113,692 | 44.1% |
서비스 등급 | 31 | 131,672 | 29,539 | 22.4% | 102,069 | 48,295 | 47.3% |
※ 취득자 중 0.9%(6,589명)는 주민번호 및 외국인등록번호 변경 등으로 인해 조회불가
2024년 취업률이 높은 국가기술자격 (‘24.7월말, 건강보험 조회 기준)
Top10 | 취득당시 미취업 인원 기준 | |||||
1000명 초과 | 201 ∼ 1000명 | 30 ∼ 200명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
1 | 전기산업기사 (2103/2846) |
73.9%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170/214) |
79.4% | 승강기기사 (55/67) |
82.1% |
2 | 산림 기능사 (828/1151) |
71.9%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436/567) |
76.9%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43/53) |
81.1% |
3 | 산업위생관리기사 (784/1097) |
71.5% | 설비보전기사 (387/508) |
76.2% | 정밀측정기능사 (64/90) |
71.1% |
4 |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740/1040) |
71.2% | 건축설비기사 (294/395) |
74.4% | 건축설비산업기사 (53/76) |
69.7% |
5 |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1139/1625) |
70.1% | 자동차정비산업기사 (445/626) |
71.1% | 콘크리트기사 (50/72) |
69.4% |
6 | 기계정비산업기사 (1110/1597) |
69.5% | 철근기능사 (386/546) |
70.7% |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102/151) |
67.5% |
7 | 건설안전기사 (2176/3151) |
69.1% | 에너지관리기사 (223/320) |
69.7%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태양광) (49/74) |
66.2% |
8 | 산림기사 (825/1223) |
67.5% | 기계설계 산업기사 (279/409) |
68.2% | 위험물 기능장 (74/113) |
65.5% |
9 | 산업안전 기사 (5348/8174) |
65.4% | 소방설비산업기사 (기계분야) (164/241) |
68.0% | 정밀측정산업 기사 (75/116) |
64.7% |
10 | 에너지관리기능사 (1018/1556) |
65.4% | 공조냉동기계기사 (449/668) |
67.2% | 온실가스관리 기사 (43/67) |
64.2% |
청년층(19~34세) 취업률이 높은 자격 (‘24.7월말, 고용보험 조회 기준)
Top10 | 취득당시 미취업 인원 기준 | |||||
1000명 초과 | 201 ∼ 1000명 | 30 ∼ 200명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
1 | 기계정비산업기사 (1049/1553) |
67.5% |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169/234) |
72.2%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43/54) |
79.6% |
2 | 전기산업기사 (1366/2124) |
64.3%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253/366) |
69.1% | 승강기기사 (50/68) |
73.5% |
3 | 산업위생관리기사 (697/1138) |
61.2% |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기능사 (184/272) |
67.6%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100/141) |
70.9% |
4 | 전기기능사 (2546/4244) |
60.0%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143/220) |
65.0%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24/34) |
70.6% |
5 | 웹디자인기능사 (799/1354) |
59.0%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217/334) |
65.0%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109/162) |
67.3% |
6 | 산업안전산업기사 (3050/5319) |
57.3% | 설비보전기사 (152/234) |
65.0% | 생산자동화기능사 (54/86) |
62.8% |
7 | 산업안전기사 (4100/7160) |
57.3% | 승강기기능사 (442/692) |
63.9% | 정밀측정산업기사 (73/118) |
61.9% |
8 | 제빵기능사 (2606/4596) |
56.7% |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240/376) |
63.8% | 컨벤션기획사2급 (71/121) |
58.7% |
9 | 제과기능사 (2397/4260) |
56.3% | 기계설계산업기사 (239/375) |
63.7% | 식육처리기능사 (30/52) |
57.7% |
10 | 건설안전기사 (1365/2475) |
55.2%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168/266) |
63.2% | 온실가스관리기사 (38/66) |
57.6% |
고령층(55세 이상) 취업률이 높은 자격(‘24.7월말, 고용보험 조회 기준)
Top10 | 취득당시 미취업 인원 기준 | |||||
1000명 초과 | 201 ∼ 1000명 | 30 ∼ 200명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
1 | 전기기능사 (1637/2817) |
58.1% | 전기산업기사 (321/447) |
71.8%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33/42) |
78.6% |
2 | 한식조리기능사 (1441/2654) |
54.3% | 산림기사 (375/523) |
71.7% | 설비보전기사 (130/176) |
73.9% |
3 | 조경기능사 (1450/2884) |
50.3% | 전기기사 (285/410) |
69.5% | 산림산업기사 (69/96) |
71.9% |
4 | 지게차운전기능사 (2644/5915) |
44.7%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175/262) |
66.8%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75/110) |
68.2% |
5 | 굴착기운전기능사 (1324/3687) |
35.9% | 산림기능사 (544/870) |
62.5% | 에너지관리기사 (60/88) |
68.2% |
6 | 건축도장기능사 (524/1974) |
26.5% | 에너지관리기능사 (268/430) |
62.3% | 콘크리트기사 (22/33) |
66.7% |
7 | 방수기능사 (519/2148) |
24.2% | 산업안전산업기사 (193/321) |
60.1% | 건축설비산업기사 (20/31) |
64.5% |
8 | 온수온돌기능사 (282/1803) |
15.6% | 승강기기능사 (170/309) |
55.0% | 건축설비기사 (108/170) |
63.5% |
9 | 컴퓨터활용능력2급 (326/604) |
54.0% | 공조냉동기계기사 (30/49) |
61.2% | ||
10 | 건설안전기사 (360/681) |
52.9% | 건축기사 (58/98) |
59.2% |
남성 취득자의 취업률이 높은 자격(‘24.7월말, 고용보험 조회 기준)
Top10 | 취득당시 미취업 인원 기준 | |||||
1000명 초과 | 201 ∼ 1000명 | 30 ∼ 200명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
1 | 기계정비산업기사 (1056/1577) |
67.0%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164/242) |
67.8%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42/56) |
75.0% |
2 | 전기산업기사 (1961/2931) |
66.9%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408/616) |
66.2% | 자연생태복원기사 (61/87) |
70.1% |
3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603/1042) |
57.9% |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275/425) |
64.7% |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87/131) |
66.4% |
4 | 산림기능사 (681/1178) |
57.8% | 기계설계산업기사 (241/379) |
63.6% | 정밀측정기능사 (47/72) |
65.3% |
5 | 에너지관리기능사 (964/1699) |
56.7% | 설비보전기사 (374/591) |
63.3% | 승강기기사 (47/75) |
62.7% |
6 | 산업안전산업기사 (3312/5878) |
56.3% | 품질경영기사 (272/440) |
61.8% | 조경기사 (120/192) |
62.5% |
7 | 산업안전기사 (4254/7819) |
54.4% | 산업위생관리기사 (264/432) |
61.1% | 조경산업기사 (25/41) |
61.0% |
8 | 일반기계기사 (1190/2208) |
53.9% |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65/437) |
60.6% | 정밀측정산업기사 (64/109) |
58.7% |
9 | 전기기사 (2474/4619) |
53.6% | 건설기계설비기사 (299/516) |
57.9% | 의공기사 (56/99) |
56.6% |
10 | 건축기사 (1156/2164) |
53.4% |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271/471) |
57.5% | 실내건축산업기사 (62/114) |
54.4% |
여성 취득자의 취업률이 높은 자격(‘24.7월말, 고용보험 조회 기준)
Top10 | 취득당시 미취업 인원 기준 | |||||
1000명 초과 | 201 ∼ 1000명 | 30 ∼ 200명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종목명 (취업자 수/미취업자 수) |
% | |
1 | 웹디자인기능사 (724/1252) |
57.8%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178/272) |
65.4% | 비서2급 (103/149) |
69.1% |
2 | 컴퓨터활용능력2급 (18165/34075) |
53.3% | 산업위생관리기사 (500/885) |
56.5% | 철도전기신호 기능사 (24/35) |
68.6% |
3 | 직업상담사2급 (1437/2791) |
51.5% | 전산회계운용사2급 (306/542) |
56.5% | 비서1급 (125/183) |
68.3% |
4 | 컴퓨터활용능력1급 (6544/13159) |
49.7% | 산림기사 (312/568) |
54.9% | 건설기계설비기사 (51/82) |
62.2% |
5 | 산업안전기사 (978/1984) |
49.3% | 전기공사기사 (266/490) |
54.3% | 공조냉동기계기사 (31/50) |
62.0% |
6 | 정보처리기사 (1400/2846) |
49.2% | 실내건축기사 (306/565) |
54.2% | 기계설계산업기사 (29/47) |
61.7% |
7 | 사회조사분석사2급 (1004/2059) |
48.8% | 도시계획기사 (152/288) |
52.8% | 산림산업기사 (62/102) |
60.8% |
8 | 전산회계운용사3급 (900/1855) |
48.5% | 건축기사 (436/840) |
51.9% | 수산양식기사 (23/38) |
60.5% |
9 | 한식조리기능사 (5187/10773) |
48.1% | 품질경영기사 (109/210) |
51.9% | 산림기능사 (91/160) |
56.9% |
10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860/1814) |
47.4% | 전자기능사 (102/203) |
50.2% | 직업상담사1급 (34/60) |
56.7% |
가장 많이 취득하는 국가기술자격(‘23년 기준)
순위 | 종목명 | 취득자(명) | 순위 | 종목명 | 취득자(명) | |
1 | 컴퓨터활용능력2급 | 65,290 | 11 | 제과기능사 | 12,858 | |
2 | 지게차운전기능사 | 63,728 | 12 | 건설안전기사 | 12,564 | |
3 | 컴퓨터활용능력1급 | 29,873 | 13 | 정보처리기사 | 12,205 | |
4 | 산업안전기사 | 28,636 | 14 | 방수기능사 | 11,257 | |
5 | 굴착기운전기능사 | 24,836 | 15 | 미용사(피부) | 11,225 | |
6 | 전기기능사 | 23,080 | 16 | 산업안전산업기사 | 10,746 | |
7 | 한식조리기능사 | 17,813 | 17 | 미용사(일반) | 10,199 | |
8 | 건축도장기능사 | 16,310 | 18 | 온수온돌기능사 | 9,707 | |
9 | 제빵기능사 | 14,941 | 19 | 위험물산업기사 | 9,324 | |
10 | 워드프로세서 | 14,441 | 20 | 전기기사 | 8,774 |
정책 대상별 많이 취득하는 자격(‘23년 기준)
청년(19~34세) | 고령자(55세이상) | |||||
순위 | 종목명 | 취득자(명) | 순위 | 종목명 | 취득자(명) | |
1 | 컴퓨터활용능력2급 | 50,512 | 1 | 지게차운전기능사 | 9,431 | |
2 | 컴퓨터활용능력1급 | 28,682 | 2 | 굴착기운전기능사 | 5,321 | |
3 | 지게차운전기능사 | 25,328 | 3 | 전기기능사 | 4,824 | |
4 | 산업안전기사 | 15,175 | 4 | 조경기능사 | 4,377 | |
5 | 정보처리기사 | 11,377 | 5 | 한식조리기능사 | 3,628 | |
6 | 워드프로세서 | 11,046 | 6 | 산업안전기사 | 3,267 | |
7 | 위험물산업기사 | 7,951 | 7 | 방수기능사 | 3,040 | |
8 | 산업안전산업기사 | 7,678 | 8 | 건축도장기능사 | 2,804 | |
9 | 굴착기운전기능사 | 7,490 | 9 | 건설안전기사 | 2,724 | |
10 | 제빵기능사 | 6,003 | 10 | 온수온돌기능사 | 2,230 |
성별(남) | 성별(여) | |||||
순위 | 종목명 | 취득자(명) | 순위 | 종목명 | 취득자(명) | |
1 | 지게차운전기능사 | 61,163 | 1 | 컴퓨터활용능력2급 | 42,676 | |
2 | 산업안전기사 | 24,278 | 2 | 컴퓨터활용능력1급 | 16,185 | |
3 | 굴착기운전기능사 | 23,649 | 3 | 한식조리기능사 | 14,313 | |
4 | 컴퓨터활용능력2급 | 22,614 | 4 | 제빵기능사 | 11,829 | |
5 | 전기기능사 | 21,622 | 5 | 제과기능사 | 10,748 | |
6 | 컴퓨터활용능력1급 | 13,688 | 6 | 미용사(피부) | 10,715 | |
7 | 건설안전기사 | 10,714 | 7 | 미용사(네일) | 8,285 | |
8 | 산업안전산업기사 | 9,934 | 8 | 미용사(일반) | 8,198 | |
9 | 건축도장기능사 | 8,508 | 9 | 건축도장기능사 | 7,802 | |
10 | 온수온돌기능사 | 8,357 | 10 | 워드프로세서 | 7,071 |
문의
직업능력정책국 직업능력평가과 (044-202-7290)
한국산업인력공단 자격품질기획부 (052-714-8665)
<출처>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
일·가정 양립 환경개선 (0) | 2025.04.13 |
---|---|
CHOOSE 함수 완벽 분석 (0) | 2025.03.27 |
INDEX 함수와 MATCH 함수 완벽 분석! (1) | 2025.03.17 |
스마트직업훈련플랫폼 스텝(STEP) : 스텝은 지식 공유의 장 (2) | 2025.03.17 |
VLOOKUP 함수 & HLOOKUP 함수 완벽 분석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