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올바른 폐의약품 수거 방법

기타

by angelswithoutwings 2025. 3. 5. 13:00

본문

728x90
반응형

올바른 폐의약품 수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폐의약품이란?

 

가정에서 복용하고 있지 않는 의약품 중 유효기간 만료 및 변질, 부패 등으로 인해 복용(사용)할 수 없는 의약품을 말합니니다. 

<출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폐의약품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잘못 버리게되면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생태계 교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이미 보고된봐 있습니다.

<출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이런 위험성 때문에 폐의약품은 폐기물 관리법상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출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올바른 폐의약품 폐기 방법

<출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폐의약품은 제형별로 배출 방법이 상이합니다.

알약은 포장재를 제거 후 내용물만 모아서 배출하는 반면 가루약은병원이나 약국에서 조제된 약포지 그대로 버려야 한다.

물약, 시럽의 경우 액체를 한 곳에 모아 밀봉하여 배출해야 합니다.

연고 및 천식 흡입제등 기타의약품은 특수용기 그대로 처리합니다.

※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이 아니므로 종량제 봉투를 통하여 배출하면 됩니다.

<출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728x90


그러면 이렇게 구분한 약들은 어디에 버려야 할까? 

<출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가까운 폐의약품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출처> 부산 북구청 만덕2동

 

폐의약품 수거함은 구청, 보건소(지소, 분소), 약국, 행정복지센터 등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출처> 부산광역시 동래구청

 

주거지 근처의 폐의약품 수거함은 공공데이터포털 누리집(https://www.data.go.kr/index.do)에서 지역별 폐의약품 수거함을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우체통을 이용하는 방법 (일부 지자체 시행)

 

<출처> 우정사업본부

 

물약을 제외한 폐의약품은 주민센터, 보건소, 건강보험공단 지사에서 배부하는 전용 회수봉투 또는 일반 우편 봉투에‘폐의약품’이라고 적어 가까운 우체통에 넣으면 됩니다.

<출처> 우정사업본부

 

내 주변 우체통 위치는 전용 봉투에 인쇄된 QR을 통해 편리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주변 우체통 위치는 우정사업본부에서 제공하는 우체국 위치 찾기 사이트를 이용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우정사업본부 우체국 위치찾기

 

ECO우체통

 

환경을 생각하는 에코우체통 등장으로 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빨간 우체통 40년 만에 크고 편하게 바뀌었다고 합니다.

이제는 우편물 이외에도 알루미늄 커피 캡슐 수거 및 폐의약품 수거함의 역할로 활용된다고 합니다.

<출처> 우정사업본부 에코우체통

 

ECO우체통 사용법

<출처> 우정사업본부



 1) 우체통 소포 간편사전접수
우체통 앞면에 표시된 QR코드로 접속 후 안내에 맞게 기재한 후 우체통에 넣어주세요.

 2) 폐의약품 회수 
알약, 가루약을 ‘폐의약품’이라고 적은 봉투에 담은 뒤 우체통에 넣어주세요. 
물약, 연고 등 투함 금지

 3) 커피캡슐 회수 
다 쓴 알루미늄 캡슐만 전용 봉투에 담아 넣어주세요.
낱개 투함 금지

반응형

 

올바른 폐의약품 수거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폐의약품 수거 방법을 실천한다면 우리의 작은 실천 하나하나가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혹시 집 안 서랍이나 약 상자에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나 먹다 남은 약이 있다면 오늘 배운 방법을 떠올려 올바르게 배출해 주세요.

우리가 무심코 버린 폐의약품은 결국 우리 자신 및 후손에게 되돌아올 수 있습니다.

올바른 폐의약품 수거는 우리 모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입니다.

오늘부터라도 적극적으로 폐의약품 수거에 동참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데 함께 노력합시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https://www.mfds.go.kr)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