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에서 복용하고 있지 않는 의약품 중 유효기간 만료 및 변질, 부패 등으로 인해 복용(사용)할 수 없는 의약품을 말합니니다.
폐의약품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잘못 버리게되면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생태계 교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이미 보고된봐 있습니다.
이런 위험성 때문에 폐의약품은 폐기물 관리법상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폐의약품은 제형별로 배출 방법이 상이합니다.
알약은 포장재를 제거 후 내용물만 모아서 배출하는 반면 가루약은병원이나 약국에서 조제된 약포지 그대로 버려야 한다.
물약, 시럽의 경우 액체를 한 곳에 모아 밀봉하여 배출해야 합니다.
연고 및 천식 흡입제등 기타의약품은 특수용기 그대로 처리합니다.
※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이 아니므로 종량제 봉투를 통하여 배출하면 됩니다.
가까운 폐의약품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폐의약품 수거함은 구청, 보건소(지소, 분소), 약국, 행정복지센터 등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주거지 근처의 폐의약품 수거함은 공공데이터포털 누리집(https://www.data.go.kr/index.do)에서 지역별 폐의약품 수거함을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물약을 제외한 폐의약품은 주민센터, 보건소, 건강보험공단 지사에서 배부하는 전용 회수봉투 또는 일반 우편 봉투에‘폐의약품’이라고 적어 가까운 우체통에 넣으면 됩니다.
내 주변 우체통 위치는 전용 봉투에 인쇄된 QR을 통해 편리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주변 우체통 위치는 우정사업본부에서 제공하는 우체국 위치 찾기 사이트를 이용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에코우체통 등장으로 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빨간 우체통 40년 만에 크고 편하게 바뀌었다고 합니다.
이제는 우편물 이외에도 알루미늄 커피 캡슐 수거 및 폐의약품 수거함의 역할로 활용된다고 합니다.
ECO우체통 사용법
1) 우체통 소포 간편사전접수
우체통 앞면에 표시된 QR코드로 접속 후 안내에 맞게 기재한 후 우체통에 넣어주세요.
2) 폐의약품 회수
알약, 가루약을 ‘폐의약품’이라고 적은 봉투에 담은 뒤 우체통에 넣어주세요.
물약, 연고 등 투함 금지
3) 커피캡슐 회수
다 쓴 알루미늄 캡슐만 전용 봉투에 담아 넣어주세요.
낱개 투함 금지
오늘 알려드린 폐의약품 수거 방법을 실천한다면 우리의 작은 실천 하나하나가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혹시 집 안 서랍이나 약 상자에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나 먹다 남은 약이 있다면 오늘 배운 방법을 떠올려 올바르게 배출해 주세요.
우리가 무심코 버린 폐의약품은 결국 우리 자신 및 후손에게 되돌아올 수 있습니다.
올바른 폐의약품 수거는 우리 모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입니다.
오늘부터라도 적극적으로 폐의약품 수거에 동참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데 함께 노력합시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https://www.mfds.go.kr)
1163회 (2025.03.15) 로또 당첨 번호 공개! (1) | 2025.03.16 |
---|---|
헷갈리는 도로 위 자동차 우선 순위는? 모든 상황 완벽 정리! (0) | 2025.03.11 |
갑자기 LG건조기의 건조 시간이 늘어났다면... (0) | 2025.02.25 |
구연산의 올바른 사용법 : 만능 천연 세정제 완벽 가이드 (1) | 2025.02.12 |
베이킹소다의 올바른 사용법 : 깨끗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한 필수품 완벽 가이드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