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의료기기협회 등과 합동…불법게시물 차단 및 반복 위반 업체 현장 점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료기기 해외직구 등 불법유통에 대한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의료기기 관련 협회·기관 및 소비자단체 등 산업계와 함께 온라인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이에 식약처는 소비자단체와 의료기기 관련 협회·기관으로부터 직원·회원을 추천받아 소비자의료기기감시원으로 위촉해 국내·외 해외직구 플랫폼을 집중 모니터링합니다.
특히 확인된 불법게시물은 차단하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바 반복적 위반 업체는 지자체·지방식약청과 연계해 현장점검에도 나설 방침입니다.
의료기기를 수입하려면 의료기기 수입업허가를 받은 자가 제품에 대해 수입 허가 또는 인증을 받거나 신고한 뒤 수입이 가능합니다.
온라인에서 구매자의 개인통관고유번호를 요구하면서 허가받지 않은 해외 의료기기를 국내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식약처는 해외직구로 구매한 의료기기는 안전성, 유효성 등이 검증되지 않은 제품이므로 구매 시 주의해야 하며 소비자 피해 발생 때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려워 정식 수입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구매자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의료기기를 구매하는 경우 식약처로부터 허가·인증·신고된 내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구매 전 허가(인증·신고) 정보를 의료기기안심책방 누리집에서 검색하면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지난 한 해 동안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허가받지 않은 의료기기를 해외직구로 판매해 적발된 주요 제품은 레이저제모기, 혈압계, 부항기, 코골이방지자석, 이갈이방지가드, 네블라이저 등이었습니다.
한편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은 7일 온라인 모니터링을 전담할 소비자의료기기감시원 18명을 위촉하고 식약처 본부와 공동으로 감시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모니터링 절차와 방법에 대해 사전교육을 했습니다.
이에 식약처는 앞으로도 안전한 의료기기를 구매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외직구 등 의료기기 불법유통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해 소비자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관리과 (043-719-3815)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의료기기안전관리과 (02-2640-4950)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
색조 화장품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3) | 2025.03.09 |
---|---|
낡은 보건 진료소가 카페와 돌봄 공간으로 (3) | 2025.03.09 |
가임력 검사비 지원 확대 두 달 만에 9만여 명 신청 (3) | 2025.03.09 |
배추·무 수급 안정 방안 (2) | 2025.03.08 |
호흡기 질환 주범 미세먼지 도시숲 통해 잡는다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