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이스피싱 범죄는 과거의 일회성 편취 방식에서 발전하여 휴대폰에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검찰·금융감독원 관계자를 사칭해 피해자를 협박·고립시키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후 ‘자금 전수조사’ 등을 명목으로 장기간에 걸쳐 전 재산을 빼앗는 등 더욱 치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법의 변화로 인해 피해 규모가 더욱 커졌으며 2024년 보이스피싱 범죄는 20,839건이 발생했고 피해액은 8,545억 원에 달했습니다.
정부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디지털 환경의 발전과 함께 빠르게 진화하며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관계부처와 함께 '보이스피싱 대응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논의된 내용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경찰 X 보이스피싱콜센터는 자금세탁조직, 대포폰 통장 등 주요 범행 수단 특별 단속 실시
해외 거점 콜센터 합동단속 추진 및 아시아 국가들과 보이스피싱 공조 수사 역량 총결집
대포폰·전화번호 변작 유통 차단
대포폰 차단을 위해 휴대폰 개통 시 본인확인 안면인식 시스템 도입 등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 국내 유통 전면 차단을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 추진
상호금융 범죄 대응 인프라 강화
이상거래탐지 시스템 고도화 및 전담인력 추가
비대면 금융사고 자율배상 책임제도에 따른 배상을 통해 피해자 구제제도 실효성 제고
1566-1188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
상담 시간 확대 : 09:00~18:00 → 09:00~22:00
전화번호 신속 차단 : 1일 → 10분
신종수법 발생 시 대국민 예·경보 문자 발송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
3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 공항 '패스트트랙' 도입 (11) | 2025.03.12 |
---|---|
안전하고 즐거운 캠핑을 위한 생활용품 안전기준 마련 (0) | 2025.03.12 |
여름도 겨울도 든든하도록 지원! (1) | 2025.03.11 |
우리 인터넷주소(도메인)도 ai.kr과 함께! (0) | 2025.03.10 |
온라인 광고 대행 사기 신고...자영업자 사장님들 필독 (5)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