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기 주의 사항 및 행동요령과 산악사고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전하게 봄 맞이하기!
해빙기 주의 사항과 행동요령
해빙기란?
겨울철 얼음이 녹기 시작하는 시기
얼음 표면이 갈라지고 약해져 활동 시 매우 위험
기온 상승으로 얼음이 깨지는 해빙기 안전사고 우려 증가
해빙기 안전사고 사례
대구 달성군 저수지에서 중학생 2명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 ('25년 1월)
러시아 우파강에서 자전거 타던 남성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 ('24년 11월)
미국 메인주의 호수에서 얼음 위를 지나던 부자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 ('24년 1월)
※ 해빙기의 불안정한 얼음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철저한 주의가 필요해요!
해빙기 안전사고 유형
수난사고 : 얼음 강도가 약해져 물에 빠지는 사고
붕괴, 무너짐 사고 : 녹은 땅으로 지반이 약해져 건축물이나 축대 붕괴
낙석 사고 : 물에 젖은 바위와 돌로 낙석 발생
가스 누출 사고 : 배관이 느슨해지거나 지반 침하로 가스 누출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 행동 요령
축대, 옹벽, 노후 건축물 주변 기울어짐 확인
운전 시 낙석 주의 구간 서행, 공사장 주변 주의
등산 시 낮과 밤 기온 차로 미끄러움 및 낙석 위험 주의
얼음낚시, 썰매 등 여가 활동 피하고 구명조끼 착용 및 출입 통제 구역 준수
해빙기에는 얼음의 두께와 지반상태가 불안정해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집니다.
주변 환경을 세심히 살피고 위험요인발견 및 사고 발생시에는 즉시 119로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봄철 산행 안전을 잡아라!
산악사고 예방법을 함께 알아봐요!
최근 3년간(`22~`24) 산악사고 현황
봄꽃이 피어나는 3월은 산에 볼거리가 많아 등산객이 늘어나는 시기!
그러나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지반 약화로 낙석, 추락, 미끄러짐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쉬워 더욱 주의해야 할 때이기도 합니다.
산악사고 예방 안전수칙 확인부터!
등산 전 몸 상태 반드시 점검
지정된 등산로 이용
낙엽, 이끼, 돌 등 최대한 밟지 않기
절벽이나 협곡을 지날 땐 낙석에 유의
등산화 착용 및 아이젠 등 안전장비 구비
겨울철에 준하는 보온용품 지참
최소 2명 이상 동행 또는 주변에 알리고 등산
산악위치표지판국가지점번호 확인
※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119에 신고
따스한 햇살과 함께 찾아온 봄은 산행을 즐기기에 더없이 좋은 계절입니다.
하지만 겨울 동안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해빙기는 다양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산행 중에는 낙석, 미끄러짐, 조난 등 예상치 못한 위험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철저한 준비와 안전 수칙 준수를 통해 즐겁고 안전한 산행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만약 등산 중 사고가 발생했다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구조를 요청하세요.
<출처> 소방청 (https://www.nfa.go.kr)
대관령으로 떠나는 무해한 여행 (4) | 2025.03.15 |
---|---|
한의학의 성지 산청 동의보감촌으로 떠난 면역력 충전 여행 (2) | 2025.03.15 |
악동에서 영웅으로 인간 이순신을 만나다. 아산 현충사 (8) | 2025.03.14 |
‘경복궁 별빛야행’과 ‘창덕궁 달빛기행’ 추첨제 전면 도입 (1) | 2025.03.13 |
봄을 품은 낙선재 추첨제 응모하기 (0) | 2025.03.13 |